[비즈니스포스트] 금호타이어가 3분기 미국 관세와 화재라는 악재 속에서도 단단한 실적을 낸 것으로 평가됐다. 향후 유럽 신공장으로 성장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현겸 KB증권 연구원은 13일 “금호타이어는 3분기 시장 전망치(컨센서스)를 넘어서는 실적을 냈다”며 “금호타이어는 대내외(관세, 화재) 악재를 중장기적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금호타이어가 관세, 화재 등 악재를 중장기적 도약 기회로 만들고 있다. |
금호타이어는 3분기 연결기준으로 영업이익 1085억 원, 지배주주순이익 828억 원을 냈다. 지난해 3분기보다 각각 22.6%, 6.3% 줄었지만 시장 전망치를 넘어선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주요 지역의 신차용(OE) 부품 및 북미 지역 교체용(RE) 판매가 견조했고, 프리미엄 신제품 출시와 고인치 타이어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해 관세 부담을 일부 상쇄하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를 19% 상회했다"고 말했다.
금호타이어는 판매가격 인상, 원산지 조정, 제품 믹스 개선 등을 통해 미국 관세를 상쇄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
광주공장 화재로 발생한 생산 차질 물량은 베트남 및 중국 공장을 통해 일부 보충하고 있으며 소실된 광주 2공장을 대체할 함평 신공장도 짓고 있다.
신공장은 최첨단 스마트공장으로 지어져 수익성 높은 전기차 및 고인치 타이어 생산의 핵심 전초기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공장 부지를 찾고 있는 유럽 신공장 역시 금호타이어의 향후 실적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혔다.
김 연구원은 “언론 보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는 유럽 신공장 프로젝트도 본격화하고 있다”며 “국내 타이어 3사 가운데 유일하게 유럽 생산 거점이 없는 금호타이어에게 이 프로젝트는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중요한 과제”라고 바라봤.
현재 신공장 후보지로는 폴란드, 포르투갈, 세르비아 등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공장이 가동되면 그동안 국내 생산으로 대응해 왔던 신차용 수요를 현지에서 직접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김 연구원은 "유럽 현지 신공장이 완공되면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공급망 안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유럽의 프리미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금호타이어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별도로 제시하지 않았다. 금호타이어 주가는 전날 한국거래소 기준 551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해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