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준 전 대표이사 회장이 포스코에서 상반기 보수로 7억6600만 원을 받았다. 장세욱 동국제강 대표이사 부회장이 철강회사 가운데 가장 많은 보수를 수령했다.
권 전 포스코 회장이 올해 상반기에 급여로 4억4천만 원, 상여금으로 3억2400만 원, 기타 근로소득 2백만 원 등 모두 7억6600만 원을 보수로 받았다고 포스코가 14일 밝혔다.
포스코 관계자는 "권 전 회장이 2014년부터 3년 동안 연결기준 부채비율을 낮춰 재무 건전성을 높였고 구조조정 계획도 차질없이 진행했다"며 "철강 본원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월드 프리미엄 제품 판매 등을 적극 추진한 점을 감안해 상여금을 지급했다"고 말했다.
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은 급여로 1억4100만 원, 상여금으로 3억700만 원, 퇴직금으로 6억4600만 원 등 모두 10억9400만 원을 받았다.
최 회장의 퇴직금은 올해 초 이뤄진 임원인사에서 포스코 사장에서 포스코켐텍 대표이사 사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받은 것이다.
우유철 현대제철 대표이사 부회장은 올해 상반기 급여로만 보수 6억6천만 원을 받았다.
장세욱 동국제강 대표이사 부회장은 급여로 10억 원, 상여금 200만 원 등 모두 10억200만 원을 수령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권 전 포스코 회장이 올해 상반기에 급여로 4억4천만 원, 상여금으로 3억2400만 원, 기타 근로소득 2백만 원 등 모두 7억6600만 원을 보수로 받았다고 포스코가 14일 밝혔다.

▲ 권오준 전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
포스코 관계자는 "권 전 회장이 2014년부터 3년 동안 연결기준 부채비율을 낮춰 재무 건전성을 높였고 구조조정 계획도 차질없이 진행했다"며 "철강 본원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월드 프리미엄 제품 판매 등을 적극 추진한 점을 감안해 상여금을 지급했다"고 말했다.
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은 급여로 1억4100만 원, 상여금으로 3억700만 원, 퇴직금으로 6억4600만 원 등 모두 10억9400만 원을 받았다.
최 회장의 퇴직금은 올해 초 이뤄진 임원인사에서 포스코 사장에서 포스코켐텍 대표이사 사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받은 것이다.
우유철 현대제철 대표이사 부회장은 올해 상반기 급여로만 보수 6억6천만 원을 받았다.
장세욱 동국제강 대표이사 부회장은 급여로 10억 원, 상여금 200만 원 등 모두 10억200만 원을 수령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