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글이 엔비디아의 새 인공지능 반도체 경쟁사로 빠르게 주목받기 시작하며 그동안 2인자로 평가받던 AMD의 입지가 불안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AMD 인공지능 GPU 기반 서버용 반도체 제품 홍보용 이미지. |
[비즈니스포스트] 구글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강력한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기존에 엔비디아의 유일한 경쟁사로 꼽혔던 AMD에 부정적 요인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증권사 번스타인이 보고서를 내고 “구글 텐서 프로세서의 성공은 AMD의 성장세에 갈수록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고 투자전문지 인베스팅닷컴이 26일 전했다.
구글은 최근 자체 설계한 텐서 프로세서 인공지능 반도체로 개발한 새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을 선보였다. 메타에 반도체를 대량 공급하는 계획도 논의되고 있다.
번스타인은 구글이 여러 빅테크 기업들의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 가운데 유일한 성공 사례라는 평가를 전했다.
구글이 메타와 같은 외부 고객사에 자체 설계 반도체를 공급하려는 움직임은 사실상 AMD를 향한 도전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AMD는 그동안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유일한 대항마로 꼽혀 왔기 때문이다.
번스타인은 “AMD는 엔비디아를 대체할 2차 인공지능 반도체 공급사로 성장해 왔다”며 “구글 프로세서가 고객사들에 실질적 대안이 된다면 투자자들이 AMD의 미래에 확신을 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번스타인은 현재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에 공급 부족 상태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수요가 꾸준히 늘어난다면 여러 기업에 충분한 기회가 남아 있다는 관측도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