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한국과 미국이 수입관세율을 15%로 조정하는 무역협정에 합의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사실상 원점으로 되돌린 조치지만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합의 대가로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기금 조성을 약속했다. 자연히 한국 기업들의 역할도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는 15% 관세가 대미 무역에 '뉴 노멀'로 자리잡은 지금 주요 기업들이 안고 있는 과제와 대응 전략, 기회 요인들을 짚어본다.
-글 싣는 순서
① 한미 관세협상 타결, 한국은행 이창용 거시정책 운용 한숨 돌렸다
② 삼성전자 반도체 품목관세 아직 남았다, 이재용 피해 최소화 방안 모색 중
③ 3500억 펀드의 핵심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차기 수장 인선 더 중요해졌다
④ LG전자 한미 15% 상호관세에 가전사업 기대감, 중국보다 가격 ‘상대우위’ 가져간다
⑤ 김동관 한화솔루션 미국 새 관세 체제에 기대감, 중국산 태양광 빈자리 노린다
⑥ 수출강자 삼양식품에 드리운 그림자, 김정수 불닭볶음면 미국에서 더 비싸게 파나
⑦ 현대차그룹 '관세 폭탄' 직면, 정의선 현지화 전략 강화로 정면 돌파 나선다
⑧ 미국산 LNG 수입 확대 직면한 가스공사, 위기 혹은 기회
⑨미국 투자 확대하는 SK, 최태원 에너지·AI·반도체서 새 사업기회 엿본다
⑩ 대상 영업이익 2천억 시대 관문에 복병 만나, 임세령·임상민 자매의 결단은
[비즈니스포스트]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이사 부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미국 시장에서 영향력 확대를 노릴 것으로 보인다.
미국 태양광 시장에서 중국산 제품의 비중이 줄면서 한화솔루션에 기회가 열릴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13일 CNBC와 로이터통신을 비롯한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이 다시 90일 동안 ‘관세 휴전’ 기간을 이어간다.
미국과 중국은 지난 4월부터 서로 100%가 넘는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 갈등을 이어 왔다. 이후 5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1차 고위급회담에서는 90일 동안 한시적으로 미국은 대중국 관세율 30%, 중국은 대미국 관세율 10%을 유지하기로 양국이 합의했다.
임시 관세 휴전은 애초 지난 12일까지였으나 양국은 7월28~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3차 고위급회담을 통해 다시 90일의 관세 휴전 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 그 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휴전을 다시 90일 연장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현지시각으로 11일 서명했다.
미국과 중국이 재차 관세 휴전을 이어가면서 10월 말에서 11월 초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전후해 양국이 정상회담을 열고 관세 전쟁의 결론을 낼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미국과 중국 사이 협상이 아무리 긍정적으로 결론을 내더라도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한국 등에 적용한 15%와 동등한 혹은 그 이하의 관세를 적용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관세 정책의 주요 목적 가운데 하나가 주요 산업의 밸류체인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줄이고 미국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데 있기 때문이다.
태양광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에서 중국산 제품의 점유율을 낮추려는 주요 산업인 만큼 김 부회장으로서는 미국에서 사업 확대 기회를 노려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부회장은 오랜 기간 미국 태양광 시장 공략을 추진했다. 하지만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산 제품의 공세에 고전하면서 대응책 마련에도 공을 들여 왔다.
비영리단체 오픈시크릿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상원에 접수된 로비 신고 내용에서 한화그룹은 2023년 158만 달러에서 두 배 이상 늘어난 390만 달러를 로비에 썼다.
주요 로비 내용은 태양광 패널 관세에서 동남아시아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태양광 제품에 관세를 부과해 달라는 것이었다. 지금껏 동남아시아는 중국이 태양광 제품을 우회 수출하는 경로로 여겨진다.
관세를 무기로 중국 견제, 미국 내 생산능력 강화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방향에 따라 김 부회장은 태양광을 비롯해 미국에서 한화그룹 전반의 사업 확대에 적극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 부회장은 한국과 미국 사이 관세협상 타결을 앞둔 7월30일 한화오션이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에게 미국 내 조선산업 투자 의지를 보이며 우리 정부를 측면 지원하기도 했다.
정부는 이후 지난 6일 미국 상무부에 제출한 의견서를 통해 반도체 및 태양광 제품의 주요 소재인 폴리실리콘을 놓고 관련 관세에서 한국 기업들에 대한 특별 고려를 요청하면서 한화솔루션의 미국 내 태양광 사업에 힘을 보탰다.
정부는 의견서에서 한화솔루션의 조지아주 태양광 패널 생산시설 투자, OCI의 텍사스주 태양광 셀 생산시설 투자 등을 언급한 것으로 전해진다.
▲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왼쪽 네 번째)이 7월30일(현지시각) 미국 필리조선소를 방문한 존 펠란 미국 해군성 장관(왼쪽 세 번째) 등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화오션>
김 부회장에게 태양광 사업의 실적 확대는 매우 중요한 상황으로 보인다.
주력 계열사 한화솔루션의 실적에서 두 축은 태양광 사업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부문과 케미칼 부문이다. 하지만 케미칼 부문은 한국 석유화학 업계 전반을 덮친 중국산 공급 과잉,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 등으로 한동안 반등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결국 태양광 사업에서 실적 성장이 이뤄져야 한화솔루션의 전체 실적도 방어가 되는 상황인 셈이다.
증권업계에서는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사업의 실적 흐름을 놓고 올해 3분기까지만 고전한 뒤 4분기부터는 성장 흐름을 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올해 3분기에는 공급망 재편에 따른 마찰적 효과로 태양광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적자로 전환하겠지만 4분기부터 미국 태양광 모듈 공장의 안정적 가동이 가능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강 연구원은 “한화솔루션은 관세로 높아진 비용을 4분기에 판매가로 전가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이 다양한 방향으로 중국 제품 규제를 강화하고 수급이 빠듯해지면서 가격 전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