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전국의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1일 국토교통부의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2월까지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가운데 보증부 월세와 반전세 포함한 월세의 비중은 61.4%로 집계됐다.
▲ 전국 전월세 거래 가운데 월세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
연도별 2월까지 누계치 기준으로 월세 비중은 2021년 41.7%, 2022년 47.1%, 2023년 55.2%, 2024년 57.5%로 해마다 증가했으며 올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단 4년 만에 20%포인트가량 높아진 것이다.
수도권보다는 지방의 월세 비중 증가세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 올해 들어 2월까지 월세 비중은 63.5%로 최근 5년 평균치보다 14.9%포인트 높았다.
수도권 월세 비중은 60.2%로 5년 평균치보다 12.2% 올라갔다. 수도권 가운데 서울만 보면 월세 비중이 65.2%로 지방보다 높았는데 증가폭은 14.2%포인트였다.
아파트 보다는 빌라를 비롯한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더 가파르게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아파트 월세 비중은 올해 1∼2월 44.2%로 5년 평균치보다 5.3%포인트 높았다. 수도권이 43.4%, 지방은 45.4%였다.
같은 기간 전국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76.3%로 5년 평균치보다 19.7%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82.9%, 서울 76.1%, 수도권 73.2% 였다.
지난 2년간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 전세 기피 현상과 함께 지방 부동산 침체가 월세화를 가속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월세 거래량과 주택 매매거래량 및 등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매매거래량)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누리집(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창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