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동기로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 사건 변호인 등을 맡아 선임 당시부터 대통령의 ‘측근’ ‘실세’라는 별명이 붙어 다녔다.
박 회장은 이재명 대통령과 중앙대학교 법대 82학번 동기로 고시반에서 함께 공부한 사이로 알려졌다. 1990년 입행해 2019년 준법감시인을 끝으로 산업은행을 떠난 내부 출신으로 71년 산업은행 역사에서 순수 내부 출신이 회장에 오른 것은 박 회장이 처음이다.
금감원장과 산업은행 회장은 금융위원장과 달리 인사 청문회를 거치지 않는다.
사실상 이번 국감이 국회 데뷔 무대라고 볼 수 있는데 대통령과 인연, 금융감독체계 개편에 강하게 반대했던 국민의힘의 전력 등을 놓고 볼 때 그 어느 때보다 강한 야권의 공격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여당 의원들의 송곳 질문도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금감원과 산업은행은 국내 금융산업 발전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큰 만큼 그동안 국감을 보면 야당뿐 아니라 여당 의원들의 날선 질의를 받을 때도 많았다.
더군다나 금감원과 산업은행은 현재 주요 현안을 다수 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금감원은 MBK파트너스 홈플러스 사태, 롯데카드 해킹 사태, 금융사 건전성 관리 등 본업뿐 아니라 금융감독체계 개편과 금융위와 관계정립 등 정무적 논리로 접근해야 할 현안도 적지 않다.
▲ 정부여당의 금융감독체계 개편이 최종 무위로 돌아간 상황에서 금융위와 금감원의 관계 정립도 이번 국감의 주요 관심사안으로 꼽힌다. 사진은 이억원 금융위원장(오른쪽)과 이찬진 금감원장이 9월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장 접견실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역시 국민성장펀드, 미국 투자펀드 조성 등 새 정부 들어 새로 받은 대형 과제뿐 아니라 HMM 지분 매각, 지난 정부에서 중점 추진됐던 부산 이전 등이 국감 도마 위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야당 의원들은 이미 금감원과 산업은행을 향한 날선 국감을 준비하고 있다.
정무위원회 국민의힘 간사를 맡고 있는 강민국 의원은 국내 금융업권 차명계좌 적발, 카드사 보안 검사, 상장사 지분공시 위반 등 금감원에서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연일 보도자료를 내며 금감원의 솜방망이 처벌과 안이한 태도를 지적하고 있다.
정무위원회에서 활동하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10년 간 산업은행의 회계위반 기업 신규여신 규모가 21조 원에 이른다고 지적하며 국책은행의 대출관리 강화를 주문하기도 했다.
추 의원은 “국책은행이 회계 위반 기업에 여신을 지속하는 것은 금융시장의 신뢰를 해치는 일”이라며 “부실 우려 기업에 대한 관리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