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

가계대출 규제로 주담대 1년 반 만에 감소세, 실수요자 대책 마련은 과제

전해리 기자 nmile@businesspost.co.kr 2025-09-14 13:29:31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정부의 강력한 가계 대출 규제가 이어지면서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ᐧ신한ᐧ하나ᐧ우리ᐧNH농협)의 11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3조702억 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규제로 주담대 1년 반 만에 감소세, 실수요자 대책 마련은 과제
▲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가 이어지면서 9월11일 기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연합뉴스>

8월 말 762억8985억 원보다 1717억 원 증가했으나, 하루 평균 증가액은 156억 원으로 8월(1266억 원)의 8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월말까지 이 속도가 이어질 경우 9월 전체 증가액은 약 4700억 원에 머물면서 올해 1월(4762억 원 감소)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가계대출 가운데 주담대(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이 607조6190억 원으로 지난달보다 524억 원 줄었다. 

월간 기준으로 가계대출 역성장이 확정되면 작년 3월(4494억 원 감소) 이후 1년 반 만에 감소를 기록하게 된다. 

반면 같은 기간 신용대출은 104조790억 원에서 104조2613척 원으로 1823억 원 늘었다. 주담대 축소에도 생활자금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6ᐧ27 규제 직전까지 크게 늘었던 주택계약 관련 가계대출이 어느 정도 소화가 된 상황”이라며 “하지만 월말로 갈수록 6ᐧ27 이후 거래 관련 대출이 점차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결혼ᐧ교육ᐧ이사 등 실수요자의 자금 조달에 제약을 받고 있어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투기 수요 억제라는 정책 취지는 이해하지만, 대출 실수요자까지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해리 기자

최신기사

지난해 사이버 사기 피해 3조4천억 전년 대비 88% 늘어, 검거율은 절반 수준
현대경제연구원 올해 경제성장률 1.0%로 상향 조정, 내년은 1.9% 제시
8월 ICT 수출 역대 최대, AI 수요 증가에 반도체 수출 27% 증가
2차 소비쿠폰 안내문자 URL 100% 스미싱, "절대 클릭금지"
이억원 금융위원장 취임, 기능이관ᐧ배드뱅크ᐧ가계부채 등 현안 산적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포화위기 내년부터 본격화, 고리 원전 95% 넘어
한국 국민소득 2027년 4만달러 돌파 전망, 올해 22년만에 대만에 역전당할듯
가계대출 규제로 주담대 1년 반 만에 감소세, 실수요자 대책 마련은 과제
코스피 질주에 30대 그룹 시총 600조 증가, 한화ᐧHD현대 '100조 클럽' 등극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 '대법 심리 1년'만에 전원합의체서 결론내나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