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 관세 정책이 전체 수요의 약 50%를 차지하는 수입 차량 가격에 영향을 미쳐 가격 부담을 키울 것으로 예상됐다. 일본 토요타 자동차 생산공장 내부. |
[비즈니스포스트]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 수입관세 일괄 부과 정책이 현지 차량 판매가격 및 소비자 수요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인베스팅닷컴은 31일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 보고서를 인용해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의 약 50%는 수입산”이라며 “트럼프 정부 관세가 수요를 크게 악화시킬 것”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정부는 4월 초부터 외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차량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멕시코와 캐나다, 한국과 일본, 유럽에서 차량을 제조해 미국에 수출하는 모든 제조사들이 영향권에 놓일 수밖에 없게 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트럼프 정부 관세 정책은 자동차 실제 수요에 직접적이고 큰 악영향을 미칠 만한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제조사들이 관세 부과에 따른 가격 인상분을 출고가에 반영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트럼프 자동차 관세가 미칠 경제적 영향은 1천억 달러(약 147조 원), 자동차 1대당 평균 비용 상승폭은 6250달러(약 919만 원)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도 이어졌다.
이러한 비용 상승분은 대부분 판매가격에 반영돼 소비자들에 부담을 키울 공산이 크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트럼프 정부에서 이런 영향을 만회하기 위해 추진하는 자동차 구매 대출의 세금 감면 정책이 큰 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해당 정책은 미국에서 생산되는 차량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가격 인상과 연관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증권사 번스타인은 미국에 생산 설비를 전혀 갖추지 않은 미쓰비시와 재규어랜드로버 등 기업이 이번 관세 부과에 특히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