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과 에너지 등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한국과 미국, 일본의 협력체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현지시각으로 21~22일 미국 워싱턴DC 샐러맨더호텔에서 열린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 2025’ 행사에 참석해 “오늘날 세계 변화의 핵심이 된 인공지능과 에너지 분야에서 한미일 3국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이 21일 미국 워싱턴DC 샐러맨더호텔에서 열린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 2025'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 SK > |
이번 행사에서 최 회장은 특별연설을 통해 한미일 산업연대를 강조했다. 그는 인공지능과 에너지, 조선·해운, 원자력 등 분야에서 세 국가가 힘을 모으면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최 회장은 “현재 인공지능 활용은 금융과 서비스 영역에 집중돼 있지만 앞으로 인공지능 리더십 경쟁은 제조 인공지능 분야에서 펼쳐질 가능성이 크다”며 “한미일 협력을 위한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한국 제조업의 최첨단 생산설비, 미국의 소프트웨어, 일본의 소재·장비 기술 등 강점을 결합하자는 방안이 제시됐다.
행사에 참석한 한미일 정·관계 인사들도 국가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에너지 수출을 위한 인프라·물류부문과 원자력·소형모듈원자로(SMR)산업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SK그룹 최종현학술원이 주최하는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는 한미일 3국이 모여 동북아시아와 태평양지역 경제·안보 현안을 논의하는 행사다. 최 회장은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을 겸임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과 미국, 일본의 전·현직 고위 관료와 석학, 재계 인사 약 90명이 참석해 △미국의 외교정책 방향 △한미일 에너지협력 △인공지능 인프라 △인공지능시대 전략적 경쟁 △동사이사 미국 동맹 안보 등을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