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당국이 CATL을 비롯한 현지 기업에서 상용화하는 반고체 배터리 명칭을 고체-액체 배터리로 규정하도록 하는 규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CATL 배터리 전시장 사진.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당국이 CATL과 니오 등 자국 기업에서 개발하는 ‘반고체 배터리’ 이름을 ‘고체-액체 배터리’로 바꿔 부르도록 하는 규제를 추진한다.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전고체 배터리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는 용어를 도입해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
중국 경제전문지 이차이는 27일 “중국 규제 당국이 반고체 배터리를 고액(고체-액체) 배터리로 재분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반고체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를 혼동하는 사례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라는 설명이 이어졌다.
전고체 배터리는 전기차 시장에서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기술이다. 에너지 밀도와 무게, 안전성과 원가 경쟁력을 모두 개선해 전기차 대중화에 기여할 잠재력이 있다.
CATL과 고션하이테크, 선워다와 이브에너지, 체리자동차 등 중국 배터리 및 자동차 기업들은 잇따라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다만 전고체 배터리는 기술 장벽이 높아 완전한 기술 개발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다수의 배터리 및 자동차 제조사들은 일반 리튬 배터리가 전고체 배터리로 진화하는 가운데 과도기적 형태라는 평가를 받는 반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속도를 냈다.
일반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데 반고체 배터리는 이 두 가지를 혼합한 형태의 전해질을 사용한다.
중국 당국이 이러한 배터리 기술을 고체-액체 배터리로 정의하면서 전고체 배터리와 더욱 확실하게 선을 그으려는 방침을 앞세우고 있는 셈이다.
전고체 배터리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되려면 아직 수 년의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1위 배터리 업체인 CATL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소규모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본격 상용화 시점은 2030년 전후로 예측했다.
토요타와 삼성SDI 등 업체도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과 시험 양산에 잇따라 나섰다. 그러나 완전히 기술 구현에 성공하고 시장성을 확보하는 시기는 예상하기 어렵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