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오른쪽)이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기획재정부 장관 탄핵소추사건 조사 청문회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향해 미국 국채 매입과 관련해 질의하고 있다. <국회방송 생중계 화면 갈무리> |
[비즈니스포스트]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국채 매입 논란과 관련해 매입 시기와 경위를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최 부총리의 미국 국채 매입을 두고 국가 경제를 총괄하는 수장으로서 매우 부적절한 행위였다고 강도 높게 질타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기획재정부 장관 탄핵소추사건 조사 청문회’에서 미국 국채 매입과 관련한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금융기관 담당자가 민간인 신분일 때부터 가지고 있던 외화예금을 외화국채로 바꾸는 소극적인 포트폴리오 운영을 추천했다”고 말했다.
매입 시기를 묻자 “2024년 8월”이라고 답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3월27일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병동 사항'을 공개하면서 최 부총리의 미국 국채 매입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됐다.
최 부총리는 1억9712만 원 상당의 미국 30년 만기 채권 상품을 보유했다고 신고했는데 미국 달러의 가치가 올라갈수록 이윤을 보는 투자였기에 거센 비판이 제기됐다.
최 부총리는 미국 국채 매입을 꼼꼼히 살피지 못해 송구하다며 고개를 숙이면서도 환율 변동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제가 외화를 가지고 있던 걸 가지고 외화국채를 샀기 때문에 환율 문제는 잘못된 지적이다”라며 “저는 한국 국채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범계 민주당 의원은 환율 관리를 맡은 경제 수장인 최 부총리가 미국 국채를 매입했다는 것은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부적절한 행위였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중국은 전략적으로 미국 국채를 팔고 있는데 미국 정부의 재정적자를 면하기 위해 바이든 정부를 비롯해 국채를 팔고 다니는데 그때
최상목 기재부 장관이 (미국 국채를) 사줬다는 건 시장에 대한 시그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환율을 안정시키고 방어해야 되는데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 국채를 가지고 어쩌면 미국과 담판에 정책적 레버리지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포기하고 오히려 ‘여러분 미국 국채 사주십시오’라는 게 한국 경제의 수장이 한 짓”이라고 꼬집었다.
최 부총리가 “환율과 무관하다”는 취지로 해명하려하자 민주당 의원들은 “그냥 죄송하다고 하라, 무슨 말이 많냐”며 질타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