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J올리브영이 오프라인 외국인 관광객과 온라인 매출의 높은 성장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CJ올리브영은 2분기 별도기준 매출 1조4619억 원, 순이익 1440억 원을 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1%, 순이익은 15.3% 늘어난 것이다.
2분기 오프라인 매출은 1조248억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 늘었다. 방한 외국인 관광객 매출이 높은 성장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2분기 온라인 매출은 437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증가했다. 빠른 배송 서비스인 ‘오늘드림’ 배송 지역 확대로 활성 이용자 수와 주문 건수가 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역직구 플랫폼인 ‘올리브영 글로벌몰’ 또한 영미권 매출 지속 성장과 아시아 비중 확대로 고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파악됐다.
CJ올리브영은 앞으로 K뷰티 수요가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글로벌몰 판매와 브랜드 수출을 강화할 계획을 세웠다. 미국 등 전략 국가에서 오프라인 출점과 온라인몰 현지화가 예정됐다. 지역별 주요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마케팅으로 글로벌 PB(자체 브랜드) 사업도 확장하기로 했다.
2분기 기준 점포 수는 1393개로 1분기보다 14개 늘었다. 운영 형태별로 살펴보면 직영점은 1173개로 1분기보다 15개 늘었다. 가맹점은 220개로 1분기보다 1개 줄었다. 이솔 기자
CJ올리브영은 2분기 별도기준 매출 1조4619억 원, 순이익 1440억 원을 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1%, 순이익은 15.3% 늘어난 것이다.

▲ CJ올리브영이 2분기 별도기준 매출 1조4619억 원과 순이익 1440억 원을 기록했다. < CJ올리브영 >
2분기 오프라인 매출은 1조248억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 늘었다. 방한 외국인 관광객 매출이 높은 성장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2분기 온라인 매출은 437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증가했다. 빠른 배송 서비스인 ‘오늘드림’ 배송 지역 확대로 활성 이용자 수와 주문 건수가 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역직구 플랫폼인 ‘올리브영 글로벌몰’ 또한 영미권 매출 지속 성장과 아시아 비중 확대로 고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파악됐다.
CJ올리브영은 앞으로 K뷰티 수요가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글로벌몰 판매와 브랜드 수출을 강화할 계획을 세웠다. 미국 등 전략 국가에서 오프라인 출점과 온라인몰 현지화가 예정됐다. 지역별 주요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마케팅으로 글로벌 PB(자체 브랜드) 사업도 확장하기로 했다.
2분기 기준 점포 수는 1393개로 1분기보다 14개 늘었다. 운영 형태별로 살펴보면 직영점은 1173개로 1분기보다 15개 늘었다. 가맹점은 220개로 1분기보다 1개 줄었다. 이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