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자동차와 기아, 현대모비스는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해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강화한다고 27일 밝혔다.
선임사외이사 제도는 사외이사의 권한과 역할을 강화하자는 취지에서 사외이사의 대표로 선임사외이사를 뽑아 운영하는 제도를 말한다. 국내 금융권은 금융사 지배구조법에 따라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세 회사는 비금융권 회사라 제도 도입 의무가 없다.
하지만 사외이사의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강화해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의 의사 결정 체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도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세 회사는 4월 열린 각 회사별 정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했다. 초대 선임사외이사로 심달훈(현대차), 조화순(기아), 김화진(현대모비스) 사외이사가 임명됐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를 대표해 경영진에 경영 자료와 현안 보고를 요청할 수 있고 사외이사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수도 있다. 사외이사의 의견을 모아 이사회와 경영진에 전달하는 역할도 맡는다.
세 회사는 제도 도입 이후 사외이사진이 이사회 의사 결정 과정에 보다 자주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외이사회도 세 회사에 신설됐다. 선임사외이사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목적이라고 현대차그룹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사회 개최 전 사외이사가 이사회 안건을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다. 세 회사는 사외이사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김주은 기자
선임사외이사 제도는 사외이사의 권한과 역할을 강화하자는 취지에서 사외이사의 대표로 선임사외이사를 뽑아 운영하는 제도를 말한다. 국내 금융권은 금융사 지배구조법에 따라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기아·현대모비스가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해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강화한다.
세 회사는 비금융권 회사라 제도 도입 의무가 없다.
하지만 사외이사의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강화해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의 의사 결정 체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도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세 회사는 4월 열린 각 회사별 정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했다. 초대 선임사외이사로 심달훈(현대차), 조화순(기아), 김화진(현대모비스) 사외이사가 임명됐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를 대표해 경영진에 경영 자료와 현안 보고를 요청할 수 있고 사외이사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수도 있다. 사외이사의 의견을 모아 이사회와 경영진에 전달하는 역할도 맡는다.
세 회사는 제도 도입 이후 사외이사진이 이사회 의사 결정 과정에 보다 자주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외이사회도 세 회사에 신설됐다. 선임사외이사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목적이라고 현대차그룹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사회 개최 전 사외이사가 이사회 안건을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다. 세 회사는 사외이사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김주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