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강원랜드는 2분기 실적에서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특이사항이 없다.
하나증권은 30일 강원랜드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2만3천 원을 유지했다. 직전거래일 29일 기준 주가는 1만9160원에 거래를 마쳤다.
▲ 강원랜드의 주가는 중장기적으로 여전히 매력적인 가격이다. <강원랜드> |
베팅 리미트 상향 등 규제 완화 효과로 드랍액의 유의미한 성장이 나타나고 있으며, 빠르면 내년부터 사행산업 매출 총량 산정에서 외국인카지노가 제외되면서 추가적인 매출 총량 증가가 예상된다.
시가배당률은 약 5% 수준으로 금융주 대비 상대적 배당 매력도가 높아진 상황이며, 추가 자사주 매입 및 정부 정책에 따라 소각까지 가능하다.
이기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를 감안하면 올해 예상 주가수익비율(P/E) 13배 수준인 현 주가도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밝혔다.
강원랜드의 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7% 늘어난 3607억 원, 영업이익은 21% 줄어든 579억 원으로 컨센서스(724억 원)를 하회했다.
비용 측면에서 2024년 사행산업건전화 평가 S등급을 받으며 경영평가성과금 157억 원 증가 및 명예퇴직금 약 36억 원이 반영된 영향으로 이를 제외하면 소폭 상회했다.
경영평과성과금은 하반기에 추가로 약 100억 원 이상 반영해야 한다. 드랍액은 1조4700억원 (+9%), 방문객 수는 58만 명(+6%)으로 일반 고객 뿐만 아니라 VIP에서 가파른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2분기 일부 테이블의 베팅 리미트 상향 효과는 테이블 당 작게는 5%에서 많게는 45% 내외로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영업외에는 작년 1분기에 반영됐던 기부금이 올해는 2분기에 195억 원 반영되면서 부진했다.
이기훈 연구원은 “올해 예상 주당 배당금은 약 1천 원으로 현재 주가에서 시가배당률은 약 5%”라며 “최근 전통적인 배당 관련주인 금융 섹터의 가파른 주가 상승으로 강원랜드의 상대적 배당 매력이 부각되면서 동반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심까지 승소한 폐광지역개발기금 2250억 원(2014~2018년 1887억 원 및 2019년 363억 원)에 대해 취소 소송을 진행 중이며, 3심 결과에 따라 배당이 추가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 만큼 상대적 배당 매력도가 높다.
또한, 총 주주환원율 60% 달성을 위해 향후 2년간 약 600억 원의 자사주 매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집권 여당에서 추진 중인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될 경우 6%가 넘는 기 보유한 자사주 소각 가능성도 있어 주주가치제고에 긍정적이다.
강원랜드의 2025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6% 늘어난 1조4787억 원, 영업이익은 4.2% 증가한 298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