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가운데)이 석유공사 사내에 마련된 'AI 체험공간'에서 직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석유공사는 사내에 ‘AI 체험공간’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AI 체험공간에는 AI 툴(도구)을 도입해 직원 누구나 심층 정보 검색, 기획안 작성까지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석유공사의 사내 AI 체험공간 마련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라는 조직적인 목표가 담겼고 직원들의 관심과 호응도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직원들 사이에서는 “AI를 활용함으로써 업무 시간을 단축해 보다 전략적이고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한 번 써보면 예전 방식으로 다시는 돌아가기 어렵다”는 이용 후기가 나온다.
석유공사는 이전까지 머신러닝(기계학습)으로 지질 데이터를 분석하고 AI CCTV를 활용해 석유 비축기지를 방호하는 등 다양한 업무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적용해 왔다.
이에 인공지능 활용 성과로 지난해 행정안전부 주관의 데이터 기반 행정 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올해에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범정부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진단에서 한 단계 상승한 3단계를 획득하기도 했다.
석유공사는 체험공간 외에도 전 직원의 AI 활용 역량을 높이고자 다양한 사내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사내 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해 AI의 실무 적용 사례를 공유하는 등 AI 문화 확산에 공을 들이고 있다.
김동섭 석유공사 사장은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공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수”라며 “석유공사는 AI로 일하는 방식은 물론, 기업 체질을 바꿈으로써 미래를 준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