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주식 매수를 통한 증시 부양 대신 주식시장의 불안요소를 단속하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바꿨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30일 중국 정부가 주식을 대규모로 사들여 지수를 끌어올리려는 노력을 포기하기로 했다고 중국의 고위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 |
||
▲ 중국 증시가 폭락하던 지난 7월24일 허난성 뤄양의 한 증권거래소에서 투자자가 전광판을 바라보고 있다. <뉴시스> |
중국 정부는 최근 2개월 동안 국영 금융기관과 연기금 등으로 ‘내셔널 팀’을 조직해 약 236조 원의 자금을 증시에 투입했다.
중국 주식시장이 지난 6월 말부터 폭락하자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시장에 개입한 것이다.
그러나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31일 전거래일보다 0.82% 내린 3205.99에 거래를 끝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6월 중순 고점을 찍은 뒤 지금까지 약 40% 가까이 떨어졌다.
중국 금융당국의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대규모로 개입한 것은 이례적인 조치”라며 “정부는 앞으로 추가적인 매수를 통해 주식시장에 개입하는 일을 자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9월3일 열리는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기념 열병식‘ 시기부터 본격적인 주식시장 통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시장의 동요를 막기 위해 증시에 직접 자금을 투입해 왔다. 그러나 앞으로는 증시 부양책을 이용해 이익을 내려고 하거나 주가 상승세를 방해하는 개인과 기관을 조사하고 처벌하는 방안을 강하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금융당국은 최근 증권사 19곳과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정부 소속 증권기관의 고위 관계자들을 일제히 소환했다. 이들은 정부로부터 시장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 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현재 내부거래와 주가조작 등에 관련된 사건 22개를 공안에 넘겼다.
중국 경찰도 25일까지 4일 동안 주가가 약 22% 하락한 기간에 ‘불법적인 시장 행위’를 저지른 11명을 체포했다.
중국 1위 증권사인 중신증권 관계자 8명과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의 전현직 간부 2명 등도 체포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가 외국인투자자들에게도 같은 통제원칙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예상했다.
중국 정부의 일부 관계자들은 “외국인투자자 세력이 의도적으로 주식시장의 불안을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에 대해 엄중한 단속 조치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